누군가가 물어보았다고 한다. 퍼실리테이터로서 유명한 일본의 고수에게... “어떻게 하면 퍼실리테이션을 잘 할 수 있을까요?” 답은 “場数を踏むことです。직역하자면 현장경험을 많이 해 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나 또한 그렇다고 생각한다. 내가 한일 동시통역을 할 수 있게 된 건 대전 엑스포 3년 프로젝트 동안 엄청난 통역을 했기 때문이다. 그 현장에서의 축적의 힘이 다였다. 리드포액션의 퍼실리테이션 또한 그러하다. 지금까지 꾸준히 리드포액션을 한 결과 퍼실리테이션의 현장경험을 엄청나게 쌓게 되었고 결국 그 퍼실리테이션의 축적의 힘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리드포액션의 내공이라고 생각한다. 리드포액션은 할 때 마다 다르다. 어제는 최효석 대표님의 서울 비즈니스 북클럽에서 리드포액션을 했는데 다시 한번 리드포액션..
한권의 책이 인생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한번의 리드포액션이 인생을 바꿀 수도 있다는 생각이 요즘들어 절실히 듭니다. 우연한 기회에 도쿄 출장길에 퍼실리테이터 양성강좌를 듣고 시작한 리드포액션 독서모임. 이젠 저의 시그니처 모임이 되었습니다. 사명감으로 번역했던 이 책 리드포액션을 통해 더 알리도록 하겠습니다. 리드포액션은 같은 책으로 하더라도 독서모임에 모인 사람들에 따라 다르고 심지어는 같은 멤버로 같은 책으로 리드포액션을 해도 또 다른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건 퍼실리테이터와 리드포액션에 독서모임 참석자들 그리고 그 공간이 만들어 내는 바노치카라(場の力: 그 공간만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분위기) 가 융합이 되어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리드포액션#독서모임#ReadForAction
리드포액션 Read For Action 나에게 퍼실리테이터가 뭔지 퍼실리테이션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 준 독서모임. 이 모임의 시초는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대지진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모든 게 파괴되고 절망의 나락에 빠졌을 때 본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다고 하는데 리드포액션이 바로 그랬다. 책을 읽는게 독서모임의 본질이 아니다. 그렇다고 지식의 공유? 이것 또한 아니다. 책은 어디까지나 매개체 일 뿐이고 함께 읽고 나누는 대화가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리드포액션을 함께 하면 힐링이 되고 책을 읽는 즐거움을 알게된다. 무엇보다도 액션을 하고 싶어진다. 리드포액션이니까... #리드포액션 #독서모임 #퍼실리테이터